매년 8월 15일은 광복절입니다. 1945년 8월 15일, 일제 식민통치로부터 나라의 주권을 되찾은 날을 기념하는 국경일로, 2025년은 광복 80주년에 해당합니다(1945 → 2025, 80년).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국가법령정보센터,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1) 광복절의 뜻: “빛을 되찾다”
- 어원과 의미 — ‘광복(光復)’은 글자 그대로 빛을 되찾는다는 뜻으로, 빼앗긴 주권을 회복해 스스로 다스리는 상태로 돌아왔음을 의미합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
- 법적 지위 — 광복절은 국경일에 관한 법률로 정한 대한민국의 국경일입니다. ‘광복절’이라는 공식 명칭은 1949년 국경일법 제정 과정에서 확정되었습니다. (출처: 국가법령정보센터·법제처 지식창고)
① 8월 15일은 주권 회복을 기념하는 국경일. ② ‘광복’은 빛·주권의 회복을 상징. ③ 2025년은 광복 80주년.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국가법령정보센터)
2) 2025년(광복 80주년) 공식 행사 한눈에
① 중앙 경축식
8월 15일 오전 10시,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제80주년 광복절 경축식이 열립니다. 올해 주제는 “함께 찾은 빛, 대한민국을 비추다”. 독립유공자 후손과 80주년 상징 연출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행정안전부)
② 전야제(8월 14일)
- 국회의사당 잔디마당 — “대한이 살았다!”를 주제로 시민 참여형 전야제가 진행되며, 미디어 파사드·드론쇼·불꽃 연출이 포함됩니다. (출처: MBC 뉴스데스크, 국회방송)
- 경복궁 흥례문 광장 — 문화체육관광부 주관 “우리는 빛이다” 전야제 공연(20:00~21:35). (출처: 대한민국 정부 대표 누리집)
③ 서울시·도심 문화 프로그램
- 보신각 타종 — 광복절 타종식은 8월 15일 11:30에 열리며, 종로 보신각에서 타종 33회와 합창 등 시민 프로그램이 진행됩니다. (출처: 서울시)
- 궁궐 야간음악회·전시 — 운현궁·덕수궁 등에서 80주년 기념 공연·전시가 마련됩니다. 덕수궁 돈덕전 “빛을 담은 항일유산” 특별전에서는 ‘서울 진관사 태극기’ 등 항일유산을 볼 수 있습니다. (출처: 서울시, 대한민국 정책포털)
④ 지역 기념식·시민 참여 캠페인
각 지자체는 기념식을 개최하고(예: 각 시·군 독립운동기념관 등), 중앙정부는 #광복 80주년 #대한민국만세 등 온라인 캠페인을 운영합니다. (출처: 대한민국 정부 대표 누리집·지역 보도)
3) 전야제·당일 행사 일정표
날짜 | 행사 | 장소/시간 | 비고 |
---|---|---|---|
8월 14일(목) | 광복 80년 전야제 “대한이 살았다!” | 국회의사당 잔디마당 / 20:15~ | 미디어 파사드·드론쇼·불꽃 (출처: MBC 뉴스데스크, 국회방송) |
8월 14일(목) | 전야제 “우리는 빛이다” | 경복궁 흥례문 광장 / 20:00~21:35 | 문화체육관광부 소개 (출처: 대한민국 정부 대표 누리집) |
8월 15일(금) | 제80주년 광복절 경축식 | 세종문화회관 / 10:00 | 주제: “함께 찾은 빛, 대한민국을 비추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행정안전부) |
8월 15일(금) | 보신각 타종식 | 서울 종로 보신각 / 11:30 | 33회 타종·시민합창 (출처: 서울시) |
8월 15일(금)~ | 항일유산 특별전 | 덕수궁 돈덕전 / 8.12~(10.12까지) | ‘서울 진관사 태극기’ 등 (출처: 대한민국 정책포털) |
4) “몇 주년인가요?” — 2025년은 광복 80주년
1945년 8월 15일로부터 정확히 80년이 되는 해가 2025년입니다. 따라서 2025년은 광복 80주년입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
5) 광복절을 맞이하는 자세: 우리가 오늘 실천할 일
① 태극기 바르게 달기
- 게양 시간 — 일반 가정은 보통 07:00~18:00 사이에 달지만, 국기법상 매일·24시간 게양도 가능하며 야간에는 조명이 필요합니다. 악천후 시엔 훼손 우려가 있으면 날씨가 갠 뒤 게양합니다. (출처: 행정안전부 ‘태극기 달기’ 안내)
- 위치 — 집 밖에서 보아 대문 중앙 또는 왼쪽(아파트는 각 세대 난간·출입구 등)에 답니다. (출처: 행정안전부)
② 기억·학습·체험
- 독립운동의 기록 읽기 — 임시정부 관련 회고·전시 자료를 통해 개인의 이야기로서의 역사를 만납니다. (출처: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공공자료)
- 현장 전시·공연 관람 — 덕수궁 돈덕전 특별전, 궁궐 기념 음악회 등 문화유산과 예술을 통해 광복의 의미를 재조명합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포털, 서울시)
③ 감사와 돌봄
- 독립유공자와 유가족 예우 — 보훈 정책과 공익 단체의 합법적 모금·봉사에 참여하여 기억과 감사의 마음을 실천합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④ 시민으로서의 다짐
- 민주주의의 주권자 — 광복은 주권의 회복이자 책임의 시작입니다. 허위정보를 경계하고, 토론과 참여로 공동체의 미래를 함께 만듭니다. (출처: Korea.net)
오전 경축식 생중계 시청 → 보신각 타종 현장 또는 온라인 참여 → 덕수궁 특별전 관람 → 저녁 전야제/도심 공연 관람 → 귀가 후 태극기 정리·오늘의 소감 기록. (출처: 서울시,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자주 묻는 질문(FAQ)
Q1. 광복절과 ‘정부수립일’은 같은가요?
A. 광복(1945.8.15)과 대한민국 정부수립(1948.8.15)은 다른 사건입니다. 광복절은 국경일법에서 정한 주권 회복 기념일입니다. (출처: 국가법령정보센터·법제처 지식창고)
Q2. 태극기는 밤에도 달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다만 적절한 조명을 갖추어야 하며, 악천후 등 훼손 우려 시에는 게양하지 않습니다. (출처: 행정안전부)
Q3. 전야제는 어디에서 하나요?
A. 2025년에는 국회의사당 잔디마당 “대한이 살았다!”와 경복궁 흥례문 “우리는 빛이다” 등 복수의 공식 전야제가 진행됩니다. (출처: MBC 뉴스데스크, 국회방송, 대한민국 정부 대표 누리집)
출처
-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 — 광복의 정의·의미)
- (출처: 국가법령정보센터·법제처 — 국경일에 관한 법률·명칭 변천)
-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행정안전부 — 80주년 경축식 일정·주제)
- (출처: MBC 뉴스데스크·국회방송 — 국회의사당 전야제)
- (출처: 대한민국 정부 대표 누리집 — 경복궁 전야제 안내)
- (출처: 서울시 — 보신각 타종·도심 문화행사)
- (출처: 대한민국 정책포털 — 덕수궁 ‘빛을 담은 항일유산’ 전시)
※ 본 글은 공개 공공자료와 보도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일부 일정은 주최 측 사정으로 변동될 수 있습니다.
'사건사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석열 전 대통령, 조사 거부하며 버티는 이유와 정치권 파장 (7) | 2025.08.12 |
---|---|
2025 대전 0시 축제 완전 정복 – 축제 소개부터 라인업까지, 잠들지 않는 도시, 대전! ‘대전 0시 축제’ 제대로 즐기기 (6) | 2025.08.10 |
“주 3시간 알바도 주휴수당?” 초단기 근로까지 주휴수당 확대 논란 정리, 자영업자 반발 속에 달라지는 제도, 제대로 알아보자 (9) | 2025.08.08 |
중대재해처벌법, 포스코이앤씨 사망사고 논란: 면허 취소 검토부터 비상경영체제까지 (8) | 2025.08.07 |
가족 모두 살해한 30대 사건과 가족 범죄의 배경 심층 분석 “부모 폭행하다 형한테 맞고 악감정”…가족 모두 살해한 30대 기소 (2) | 2025.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