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건사고

광복절의 뜻·행사·전야제·몇 주년인지, 그리고 우리가 갖출 자세

by efficacybearstory 2025. 8. 15.
반응형

매년 8월 15일은 광복절입니다. 1945년 8월 15일, 일제 식민통치로부터 나라의 주권을 되찾은 날을 기념하는 국경일로, 2025년은 광복 80주년에 해당합니다(1945 → 2025, 80년).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국가법령정보센터,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반응형

1) 광복절의 뜻: “빛을 되찾다”

  • 어원과 의미 — ‘광복(光復)’은 글자 그대로 빛을 되찾는다는 뜻으로, 빼앗긴 주권을 회복해 스스로 다스리는 상태로 돌아왔음을 의미합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
  • 법적 지위 — 광복절은 국경일에 관한 법률로 정한 대한민국의 국경일입니다. ‘광복절’이라는 공식 명칭은 1949년 국경일법 제정 과정에서 확정되었습니다. (출처: 국가법령정보센터·법제처 지식창고)

태극기태극기태극기
태극기

핵심 요약
① 8월 15일은 주권 회복을 기념하는 국경일. ② ‘광복’은 빛·주권의 회복을 상징. ③ 2025년은 광복 80주년.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국가법령정보센터)

2) 2025년(광복 80주년) 공식 행사 한눈에

① 중앙 경축식

8월 15일 오전 10시,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제80주년 광복절 경축식이 열립니다. 올해 주제는 “함께 찾은 빛, 대한민국을 비추다”. 독립유공자 후손과 80주년 상징 연출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행정안전부)

태극기태극기
태극기

② 전야제(8월 14일)

  • 국회의사당 잔디마당“대한이 살았다!”를 주제로 시민 참여형 전야제가 진행되며, 미디어 파사드·드론쇼·불꽃 연출이 포함됩니다. (출처: MBC 뉴스데스크, 국회방송)
  • 경복궁 흥례문 광장 — 문화체육관광부 주관 “우리는 빛이다” 전야제 공연(20:00~21:35). (출처: 대한민국 정부 대표 누리집)

③ 서울시·도심 문화 프로그램

  • 보신각 타종광복절 타종식은 8월 15일 11:30에 열리며, 종로 보신각에서 타종 33회와 합창 등 시민 프로그램이 진행됩니다. (출처: 서울시)
  • 궁궐 야간음악회·전시 — 운현궁·덕수궁 등에서 80주년 기념 공연·전시가 마련됩니다. 덕수궁 돈덕전 “빛을 담은 항일유산” 특별전에서는 ‘서울 진관사 태극기’ 등 항일유산을 볼 수 있습니다. (출처: 서울시, 대한민국 정책포털)

④ 지역 기념식·시민 참여 캠페인

각 지자체는 기념식을 개최하고(예: 각 시·군 독립운동기념관 등), 중앙정부는 #광복 80주년 #대한민국만세 등 온라인 캠페인을 운영합니다. (출처: 대한민국 정부 대표 누리집·지역 보도)

참고 — 광복 80주년의 일부 프로그램은 국민주권 대축제 등과 연계되어 소개됩니다. (출처: Korea.net)

3) 전야제·당일 행사 일정표

날짜 행사 장소/시간 비고
8월 14일(목) 광복 80년 전야제 “대한이 살았다!” 국회의사당 잔디마당 / 20:15~ 미디어 파사드·드론쇼·불꽃 (출처: MBC 뉴스데스크, 국회방송)
8월 14일(목) 전야제 “우리는 빛이다” 경복궁 흥례문 광장 / 20:00~21:35 문화체육관광부 소개 (출처: 대한민국 정부 대표 누리집)
8월 15일(금) 제80주년 광복절 경축식 세종문화회관 / 10:00 주제: “함께 찾은 빛, 대한민국을 비추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행정안전부)
8월 15일(금) 보신각 타종식 서울 종로 보신각 / 11:30 33회 타종·시민합창 (출처: 서울시)
8월 15일(금)~ 항일유산 특별전 덕수궁 돈덕전 / 8.12~(10.12까지) ‘서울 진관사 태극기’ 등 (출처: 대한민국 정책포털)

4) “몇 주년인가요?” — 2025년은 광복 80주년

1945년 8월 15일로부터 정확히 80년이 되는 해가 2025년입니다. 따라서 2025년은 광복 80주년입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

태극기태극기
태극기


5) 광복절을 맞이하는 자세: 우리가 오늘 실천할 일

① 태극기 바르게 달기

  • 게양 시간 — 일반 가정은 보통 07:00~18:00 사이에 달지만, 국기법상 매일·24시간 게양도 가능하며 야간에는 조명이 필요합니다. 악천후 시엔 훼손 우려가 있으면 날씨가 갠 뒤 게양합니다. (출처: 행정안전부 ‘태극기 달기’ 안내)
  • 위치 — 집 밖에서 보아 대문 중앙 또는 왼쪽(아파트는 각 세대 난간·출입구 등)에 답니다. (출처: 행정안전부)

② 기억·학습·체험

  • 독립운동의 기록 읽기 — 임시정부 관련 회고·전시 자료를 통해 개인의 이야기로서의 역사를 만납니다. (출처: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공공자료)
  • 현장 전시·공연 관람 — 덕수궁 돈덕전 특별전, 궁궐 기념 음악회 등 문화유산과 예술을 통해 광복의 의미를 재조명합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포털, 서울시)

③ 감사와 돌봄

  • 독립유공자와 유가족 예우 — 보훈 정책과 공익 단체의 합법적 모금·봉사에 참여하여 기억과 감사의 마음을 실천합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④ 시민으로서의 다짐

  • 민주주의의 주권자 — 광복은 주권의 회복이자 책임의 시작입니다. 허위정보를 경계하고, 토론과 참여로 공동체의 미래를 함께 만듭니다. (출처: Korea.net)
추천 루트
오전 경축식 생중계 시청 → 보신각 타종 현장 또는 온라인 참여 → 덕수궁 특별전 관람 → 저녁 전야제/도심 공연 관람 → 귀가 후 태극기 정리·오늘의 소감 기록. (출처: 서울시,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자주 묻는 질문(FAQ)

Q1. 광복절과 ‘정부수립일’은 같은가요?
A. 광복(1945.8.15)과 대한민국 정부수립(1948.8.15)은 다른 사건입니다. 광복절은 국경일법에서 정한 주권 회복 기념일입니다. (출처: 국가법령정보센터·법제처 지식창고)

Q2. 태극기는 밤에도 달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다만 적절한 조명을 갖추어야 하며, 악천후 등 훼손 우려 시에는 게양하지 않습니다. (출처: 행정안전부)

Q3. 전야제는 어디에서 하나요?
A. 2025년에는 국회의사당 잔디마당 “대한이 살았다!”와 경복궁 흥례문 “우리는 빛이다” 등 복수의 공식 전야제가 진행됩니다. (출처: MBC 뉴스데스크, 국회방송, 대한민국 정부 대표 누리집)


출처

  •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 — 광복의 정의·의미)
  • (출처: 국가법령정보센터·법제처 — 국경일에 관한 법률·명칭 변천)
  •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행정안전부 — 80주년 경축식 일정·주제)
  • (출처: MBC 뉴스데스크·국회방송 — 국회의사당 전야제)
  • (출처: 대한민국 정부 대표 누리집 — 경복궁 전야제 안내)
  • (출처: 서울시 — 보신각 타종·도심 문화행사)
  • (출처: 대한민국 정책포털 — 덕수궁 ‘빛을 담은 항일유산’ 전시)

※ 본 글은 공개 공공자료와 보도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일부 일정은 주최 측 사정으로 변동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